윤선도 「만흥(漫興)」 완벽 정리 - 중간고사 등 대비

한시 등을 얘기할때 윤선도와 정철을 비교할수 있는데 먼저 윤선도의 만흥을 중심으로 한번 알아볼게요

1. 작품 개요

  • 제목: 만흥(漫興)
  • 작가: 윤선도(尹善道, 1587~1671)
  • 갈래: 한시(漢詩), 회고적 성격의 자작시
  • 성격: 서정시, 회고시
  • 형식: 오언고시(五言古詩)
  • 배경: 유배 생활 중 자연 속에서 느낀 깨달음과 자족의 삶

2. 오언고시란?

한 줄에 다섯 글자(한자 5자)로 구성된 고체 형식의 한시로, 감정과 사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데 적합하며 윤선도의 자연 친화적 시 세계에 잘 어울리는 형식입니다.

3. 줄거리 요약

시인은 젊은 시절 허영과 출세를 좇았던 삶을 회고하며, 자연 속 자족의 삶이 진정한 즐거움임을 깨닫는다. 자연과 더불어 살며 죽음까지도 편안히 받아들이겠다는 소망을 표현한다.

4. 윤선도 「만흥」 전문, 해석 및 해설

원문 현대어 해석 해설/주요 사항
我年向七十나는 나이 칠십을 바라보지만,노년의 삶에 대한 여유와 감사 표현
無病得長壽병 없이 오래 사니 장수한 셈이다.건강하게 나이 든 삶을 긍정적으로 인식
窮通與壽夭영화와 곤궁, 장수와 요절은인생의 부침은 사람 뜻대로 되지 않음을 인식
一切非我有모두 내 뜻대로 되는 것이 아니다.삶의 무상함과 초탈한 태도
但有四十年그저 사십 년 동안속세를 떠나 자연 속에서 살아온 시간
不受外界愁세속의 근심을 멀리하며 살아왔다.속세와 거리 둔 은둔적 삶 강조
醉眠醒復酌술에 취해 자고, 깨어 다시 마시며자연 속 여유롭고 느긋한 일상 묘사
行坐常自由걷고 앉고 늘 자유롭다.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자유로운 삶
寒暖與饑飽춥고 덥고, 배고프고 배부른 것도자연에 순응하는 생활 태도
於我亦何求나에겐 별로 바랄 것 없다.욕심 없는 자족의 경지
不營生前名살아 있는 동안 명예를 구하지 않고허영을 버리고 본질에 충실한 삶
不計死後謀죽은 뒤의 일도 계산하지 않는다.죽음마저 담담히 받아들이는 태도
直與白雲期오직 흰 구름을 벗 삼아자연 속 벗으로 흰 구름을 삼는 고결한 정신
終焉伴林丘죽을 때까지 숲과 언덕에서 살고 싶다.자연 속에서 삶을 마무리하고자 하는 소망

5. 문학사적 의의 및 작가 설명

  • 윤선도(尹善道):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시조와 한시에 능했으며, 대표작으로는 「어부사시사」, 「오우가」 등이 있다.
  • 자연 속에서의 도학적 삶, 자아 성찰, 무욕의 정신을 시로 표현함
  • 자연과 함께하는 삶, 무욕, 고결함을 강조하는 유교·도가적 세계관 표현

6. 시험 대비 예상 문제

📌 서술형 예상 문제

Q1. 시인이 회고하는 젊은 시절과 현재의 삶은 어떻게 대비되는가?
답: 젊은 시절엔 명예와 출세에 집착했으나, 현재는 자연 속에서 자족하며 자유롭게 살아가고 있음.

Q2. 시에서 '백운(白雲)'의 상징적 의미를 설명하시오.
답: 흰 구름은 자연, 순수, 속세를 떠난 고결한 삶의 상징이며, 시인의 삶의 이상을 나타냄.

📌 객관식 예상 문제

Q1. 다음 중 『만흥』의 주제로 가장 알맞은 것은?
① 자연의 아름다움 찬미
② 속세 명예 추구
③ 자연 속 자족적 삶
④ 현실 풍자

정답:

Q2. 시인의 삶에 대한 태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?
① 출세와 영광 추구
② 죽음에 대한 두려움
③ 자연과 벗하는 여유로운 삶
④ 속세의 걱정에 얽매인 삶

정답:


7. 핵심 요약

  • 주제: 속세를 떠나 자연 속 자족적인 삶을 추구함
  • 정서: 자족, 평온, 성찰
  • 형식: 오언고시 (한 줄 5자 구성)
  • 의의: 유교적 삶의 성찰과 자연 속 도학적 정신 표현

8. 윤선도 vs 정철 시풍 비교

구분 윤선도 (1587~1671) 정철 (1536~1593)
시대 조선 중기 조선 중기
대표 장르 한시, 가사, 어부사시사 가사, 사미인곡, 속미인곡, 관동별곡
주요 시풍 자연 속 은둔, 도학적, 심미적 충절, 연군지정, 웅혼한 기상
작품 분위기 조용하고 담백하며 자연 친화적
현실을 떠나 유유자적한 삶 추구
웅장하고 절절함, 애틋하고 장중한 느낌
임금에 대한 충정과 고뇌의 표현
문학적 성격 퇴계 이황 학풍 영향 → 도학적 사유와 자연애 사림 정치와 관련, 정치적 메시지 내포
대표작 어부사시사, 만흥 관동별곡, 사미인곡, 속미인곡
언어적 특징 정제된 한문, 간결하고 깊이 있는 정서 풍부한 우리말 표현, 음악성과 수사성 뛰어남

💡 한줄 요약:
윤선도는 자연 속 은거와 도학적 사유가 담긴 은일 문인의 시풍을, 정철은 임금에 대한 충절과 인간적 고뇌를 담은 강직한 시풍을 대표합니다.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애견보험 추천 BEST 5 꼼꼼 비교

취업 잘되는 지역거점국립대학은 어디일까요?

이문구 암소 작품 해설 및 중간고사 대비 자료